[Java] 개념 구분
Object, 객체 VS Class, 클래스Object, 객체 특정 실체를 객관화하여 인식하거나 이해하는 대상 데이터와 동작을 하나의 단위로 구조화, 구체적 · 추상적 데이터의 단위 Class, 클래스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 · 청사진→ 데이터 구조화 · 해당 데이터 관련 메소드 포함 → 변수와 메소드로 구성 Function, 함수 VS Method, 메소드Function, 함수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코드 Method, 메소드 = 멤버 함수객체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클래스 내부에 구현되는 함수 Instance, 인스턴스클래스 기반으로 생성된 객체, 각각 다른 멤버 변수의 값을 가질 수 있음→ Heap 영역에 할당 됨* Java에서는 Gabage Collector가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..
OSI 7계층, TCP/IP 7계층
사용자 지원 계층(7, 6, 5) : 소프트웨어 시스템 간의 상호 연동 가능 전송 계층(4) : 사용자 지원 계층과 네트워크 지원 계층 연결 네트워크 지원 계층(1, 2, 3) :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이동 할 때 필요한 물리적 규칙 등을 처리 데이터 링크 계층(2) 데이터 단위 : 프레임 네트워크 계층(3) 데이터 단위 : 패킷 헤더 2, 3, 4, 5, 6 계층 메시지에 추가 트레일러 2계층에 추가 1. 물리 계층 - 비트 2. 데이터링크 계층 - 프레임 이더넷; 데이터 링크 :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된 한 덩어리의 기기, 네트워크의 최소 단위 3. 네트워크 계층 - IP 데이터그램 캡슐화 : 상위 계층 정보를 하위 계층 정보 영역에 내장 시켜 전송하는 기술 4. 전송 계층 - 세그먼트 5. 응용계층 ..
네트워크 구성 요소,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, 교환 방식, 전송 방식
전송 매체의 종류와 특징 1. 유선 전송 매체 꼬임선(랜 케이블) : UTP(비차폐) 케이블 / STP(차폐) 케이블 동축 케이블 : 외부 간섭에 강함, 대역폭이 큼, 케이블이 단단해 원하는 모양으로 시공하기 어려움 광섬유 케이블 : 빛을 사용해 전기적 간섭을 받지 않음(장거리 전송), 대역폭이 큼, 가격이 쌈, 충격에 약함 2. 무선 전송 매체 라디오파 : KHz ~ MHz eodur (AM/FM 방송, 지상파) - 주파수가 낮으면 전송 거리가 길어짐, 주파수가 높으면 전송 속도가 빨라짐 마이크로파 : 통신 선로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에 설치. GHz 대역, 속도는 빠르지만 장애물을 만나면 음영 구역 - 이동 통신 :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 - 위성 통신 : 인공..